주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

빛가람종합병원 로고

Loading...

PICC클리닉

대표전화061-820-0820

질병의 종류와 치료 방법에 따라 적절한 중심정맥관을 삽입하여  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안전한 시술을 시행합니다.

PICC클리닉 시술상담 및 문의

061-820-0816061-820-0816

PICC(말초삽입형중심정맥관)란?

말초 혈관인 팔 혈관에서 시작해서 심장 가까이의 굵은 혈관인 중심 정맥으로  삽입되는 관 또는 카테터를 말합니다.

장기 입원 환자의 경우, PICC는 한 번 삽입 후 적절한 관리로 장기간 유지가  가능하며, 반복적인 정맥주사 삽입으로 겪는 통증과 불편함을 덜어줄 수  있습니다. 특히, 말초 혈관으로 투여할 경우, 혈관 밖으로 새어나가 조직에  염증 및 손상을 일으킬 수 있는 약물을 안정적으로 투여할 수 있습니다.

PICC 기구 이미지

PICC가 필요한 경우는?

장기간의 수액 요법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되며, 다음의 경우에 삽입이 권장됩니다.

  • 1 항암제 및 항생제 등의 각종 약물 투여가 필요한 경우
  • 2 고농도 또는 고영양 수액을 투여할 경우
  • 3 수술 등으로 중심정맥압을 특정할 필요가 있는 경우
  • 4 반복적인 정맥주사로 혈관 확보가 어려운 경우

PICC 삽입 방법은?

일반적으로 팔꿈치와 어깨 사이에 있는 요측피정맥(Cephalic Vein), 척측피정맥(Basilic Vein), 또는 상완정맥(Brachisl Vein)을 이용하며, 주로 척측피정맥(팔에 있는 굵은 혈관)을 사용합니다.

  • PICC 삽입 방법 이미지1

    우측 전완의 척측피정맥을 통해서  중심정맥도관이 삽입된 모습

  • PICC 삽입 방법 이미지2

    PICC 삽입 후 가슴 X-ray 촬영을 통해  정확하게 위치하는지를 확인

조영제 (Power Injection) 주입 방법은?

정맥 주입 전 매번 혈액을 흡인하고 플러싱하여 카테터의 개방성을 확인합니다.

  • 1 3-Way(Stopcock) 또는 Needless connector를 Power PICC에서 제거합니다.
  • 2 10ml이상의 생리식염수로 채운 주사기를 연결합니다.
  • 3 적절한 혈액 순환을 위해 흡입하고, 전체 10ml의 생리식염수로 강하게 플러싱합니다.
  • 4 주사기를 분리합니다.
  • 5 전력 주입 장치를 제조업체의 권장사향에 따라 Power PICC에 연결합니다.
  • 6 조영제는 주입 전에 체온 수준까지 데워야 합니다.
  • 7 'Power Injectable' 이라고 표시 된 도관에만 조영제를 주입합니다.
  • 8 최대 유속 5ml/sec 또는 전원 주입기의 최대 압력 300psi를 초과하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입니다.
  • 9 전력 주입 장치의 연결을 차단합니다.
  • 10 3-Way(Stopcock) 또는 Needless connector를 교체하여 Power PICC와 연결합니다.
  • 11 10ml 생리식염수를 주입하여 잠금합니다. (루멘당 1ml가 적당합니다.)

카테터 삽입부위 소독과 드레싱 교환

  • 1 카테터 삽입 부위 피부소독제로 알코올이 함유된 2% 초과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이 선호됩니다.
    (만약, 클로르헥시딘 사용이 금기 또는 민감한 환자는 70% 이상 알코올, 포비돈 아이오다인, 아이오다인 틴처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.)
  • 2 아세톤 기반 용액이나 폴리에틸렌 글리콜 함유 연고로 소독할 경우 카테터가 손상될 수 있습니다.
  • 3 삽입부위 드레싱 및 교체주기
  • 멸균 투명 드레싱

    5~7일 마다

    멸균 거즈 드레싱

    2일 마다

    멸균 투명 드레싱 + 거즈 드레싱

    2일 마다

  • 4 모든 소독제는 드레싱을 적용하기 전에 완전히 자연건조 시켜야 합니다.

Statlock (PICC 고정장치) 교환

statlock 교환 이미지

멸균 투명 드레싱과 같이 7일 마다 교체합니다.

  • 1 부착된 Statlock 양쪽 끝에 알코올을 적당히 적셔 접착제가 느슨해지도록 한 후에 피부로부터 양쪽 끝을 살짝 뗍니다.
    (주의: 강한 힘을 주거나 당기지 않도록 유의합니다.)
  • 2 PICC를 고정하고 있던 플라스틱 캡을 한쪽씩 엽니다.
  • 3 조심스럽게 PICC 카테터를 Statlock 고정 장치에서 뺀 후 Statlock을 제거합니다.
  • 4 Statlock을 제거한 부위를 소독하고, Statlock 포장 안네 동봉된 Skin Prep Pad로 Statlock 을 부착할 부분을 닦아 피부 보호 및 접착력을 높일 수 있게 준비합니다.
    (주의 : 완전히 마를 때까지 자연건조를 시켜야합니다.)
  • 5 새로운 Statlock 제품을 화살표가 카테터 삽입 부위를 향하게하여 Suture hole에 맞게 끼운 후에 양쪽 플라스틱 캡을 닫습니다.
    (주의 : 환자의 피부를 누르면서 조립하지 않도록 주의합니다.)
  • 6 Statlock 제품 뒤에 있는 보호 필름을 제거한 후에 피부에 부착합니다.

카테터 플러싱

다음과 같은 경우 카테터 개방성 유지를 위해 플러싱을 시행합니다.

  • 채혈 전/후
  • 약물, 혈액성분,  TPN 주입 전/후
  • 지속적으로 약물을 주입하다가 간헐적으로 주입을 전환할 때

절차

  • 1 소독제를 이용하여 카테터 허브를 세척한 후, 자연건조 합니다.
  • 2 10ml 생리식염수로 플러싱 합니다.
  • 3 카테터 손상 방지를 위해 10ml주사기 또는 주입 압력이 낮은 주사기를 사용합니다.
  • 4 카테터 내 혈액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Push-Pause 또는 Start-Stop 기법을 사용합니다.
  • 5 헤파린 또는 생리식염수를 주입하여 잠금합니다. (참고:루엔딩 1ml가 적당합니다.)
  • 6 주사기를 제거하고 클램프로 카테터 허브를 잠급니다.

PICC 삽입 후, 이럴 경우에는 의료진에게 알려주세요!

  • 1 삽입 부위에서 출혈이 계속되는 경우
  • 2 고삽입 부위에서 진물이 흐를 경우
  • 3 삽입 부위에 통증이 있는 경우
  • 4 헤파린 희석액 주입 후 오한이나 고열이 있는 경우
  • 5 삽입한 쪽의 어깨, 팔이 계속 저리거나 붓고 아픈 경우
  • 6 관 또는 카테터가 찢어지거나 구멍이 뚫린 경우
  • 7 보여지는 관 또는 카테터의 길이가 평소보다 길어지거나 빠져나온 경우